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2025 청년 혜택 비교) 청년도약계좌vs청년일자리장려금 어떤 게 더 이득일까?

by 위시-스몰 2025. 5. 22.

안녕하세요. 위시입니다.

오늘은 뉴스에 자주 등장하는 '청년도약계좌'와 '청년일자리장려금'에 대해서 이야기해보려 합니다.

둘 다 청년을 위한 정부 혜택이라는 공통점이 있지만, 성격은 완전히 다릅니다. 이글에서는 두 정책의 차이점, 지원 대상, 혜택의 크기 등을 비교해 보고 내 상황에 어떤 제도가 더 유리한지 판단하는 데 도움을 드릴게요.

▣ 청년도약계좌란?

 

● 개요 : 청년이 매달 일정 금액을 저축하면 정부가 보조금 + 이자를 더해주는 제도

● 운영 기관 : 금융위원회 + 각 시중은행

● 대상

▷ 만 19~34세

▷  연 소득 7,500만 원 이하

▷ 가구소득 중위 180% 이하

지원 방식

▷ 월 최대 70 만원 저축 시. 5년 후 최대 5,000만 원 목돈 수령 가능

▷ 정부지원금이 월 10~40만 원 수준으로 차등 지급됨

● 장점 

▷ 목돈 마련이 가능한 저축형 상품

▷ 비과세 혜택 있음

● 단점

▷ 5년간 유지 조건 까다로움

▷ 월 납입 부담이 커서 중도포기 많음

 

25년 청년도약계좌안내문.pdf
3.29MB

 

청년도약계좌안내문(서민금융진흥원)

 

 

▣ 청년일자리도약장여금이란?

개요 : 청년 채용을 유도하기 위해 정부가 기업에 보조금을 주는 제도

운영 기관 : 고용노동부

대상 

▷ 만 15~34세 미취업 청년

▷ 6개월 이상 공백이 있는 자 우선

▷ 정규직으로 채용된 경우

기업에게 지급

▷ 기업이 청년을 정규직으로 채용하면 최대 연 960만 원 지원

간접혜택(청년입장)

▷ 고용 기회 확대

▷ 일부 기업은 장려금 혜택 조건 충족 위해 우선 채용

장점

실제 취업 기회로 연결될 수 있음

▷ 별도 신청 없이 기업만 조건 충족하면 됨

단점

본인 직접 수혜 x (기업이 받는 보조금임)

▷ 고용 불안정한 기업에서 악용 사례도 존재

 

 

 

고용24_개인

전체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세종 경기 충북 충남 전남 경북 경남 제주 강원 전북

www.work24.go.kr

고용 24 도약장려금 사업 운영기관 리스트

 

 

▣ 비교 정리 요약표

 

항목 청년도약계좌 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
주체 본인(청년 본인) 기업(청년 채용 기업)
직접 수혜자 청년 기업(청년은 간접 수혜)
금전적 혜택 최대 5천만원 적립 가능 기업에 최대 960만원 지원
조건 매월 저축, 5년 유지 정규직 채용, 고용 유지 6개월 이상
신청 경로 은행 or 정부지원 앱 고용노동부 & 참여기업
유의사항 중도해지 시 손해 있음 기업에 따라 실질 혜택 차이 존재

 

 

내 상황엔 어떤 게 더 좋을까?

이런 청년이라면... 추천 제도
안정적 수입 있고, 목돈 모으고 싶다 청년도약계좌
취업 준비 중이거나, 미취업 상태다 청년일자리장려금

 

 

 

두 제도 모두 청년의 자산 형성취업 기회 확대를 위한 소중한 정책이에요. 무조건 둘 중 하나만 선택할 필요 없이, 자신의 상황에 맞춰 병행 활용할 수도 있어요. 예를 들어, 청년일자리장려금을 통해 정규직 취업한 후 →청년도약계좌에 가입하는 식이죠!

정부 지원은 정보가 힘입니다. 잘만 활용하면 1~2년 내에 수백만 원 이상의 실질 혜택을 받을 수 있어요. 내가 놓치고 있는 건 없는지 꼭 체크해 보세요!

 

반응형